개발/Spring

    [Spring] Component Scan이란?

    [Spring] Component Scan이란?

    안녕하세요. 개발자 Jindory입니다.오늘은 Component Scan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Component Scan 과정에 대해서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 글 작성 이유 ]ControllerAdvice 어노테이션 동작 과정을 공부하다 Component Scan 과정에 대해서 이해하지 못한것 같아, Component Scan이 무엇인지, 어떤 동작 과정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1. Component Scan이란?Component Scan이란 "Spring framework에서 사용되는 기능으로 어플리케이션 내에 존재하는 @Component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들을 자동으로 Bean으로 등록해주는 역할을 의미합니다. Component Scan이라는 단어에서 Compon..

    [Spring] Transaction Propagation Model과 Isolation Level

    [Spring] Transaction Propagation Model과 Isolation Level

    안녕하세요. 개발자 Jindory입니다. 오늘은 Transacion과 Propagation Model(전파모델) 및 Isolation Level(격리 수준)에 대해서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 글 작성 이유 ] 회사에서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과 함께 옵션들이 있었는데, 무심코 지나갔던것 같아서 Transaction과 Isolation Level, Propagation Model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Transaction이란? Transaction이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경할때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혹은 일련의 연산"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계좌에서 B라는 계좌에 송금하는 기능이 실행된다고 했을때, A라는 계좌에서 송금할 금액을 차감하는 연..

    [Spring] Spring 초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설정 방법

    [Spring] Spring 초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설정 방법

    안녕하세요. 개발자 Jindory입니다. 오늘은 Spring 서버 Start시 초기 데이터를 셋팅하는 방법에 대해서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 글 작성 이유 김영한님의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 2'편을 보다가 API 테스트 시 기초 데이터를 셋팅하는 방법을 보고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저 또한 API 테스트 시 기초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테스트 할 때마다 SQL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API로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고로움을 덜 수 있는 방법이라서 한번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 초기 데이터 생성 Component를 위한 설정 application.properties Spring Boot 2.4부터 생긴 설정으로 현재 활성화된 프로필을 정의하기 위해서 설정하는 정보입니다. spring.pro..

    [Spring] 의존성 주입의 정의 및 의존성 주입 3가지 방식 (생성자 주입, 수정자 주입, 필드 주입)

    [Spring] 의존성 주입의 정의 및 의존성 주입 3가지 방식 (생성자 주입, 수정자 주입, 필드 주입)

    안녕하세요. 개발자 Jindory입니다. 오늘은 의존성 주입에 대해서 정리하고 의존성 주입을하는 3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글을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 글 작성 목적 Spring Framework의 특징인 의존성 주입의 정의를 알고, 의존성 주입하는 다양한 방법 및 어떤 상황에서 어떤 의존성 주입을 하는것이 좋은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의존성 주입(Dipendency Injection)이란? 의존성 주입이란 외부에서 두 객체간의 관계를 결정해주는 디자인 패턴으로 인터페이스를 사이에 두고 클래스 레벨에서는 의존 관계가 고정되지 않도록 하고 런타임시에 관계를 동적으로 주입하여 결합도를 낮출 수 있게 하는 기법입니다. 의존성 주입을 배터리(의존객체)를 사용하는 장난감(객체)로 설명해보겠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