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ndory
Jindory의 기록 라이프
Jindory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07-04 08:21
  • 분류 전체보기
    • 개발
      • AI
      • Java
      • Javascript
      • JPA
      • Python
      • Spring
      • Web
    • 데이터베이스
      • Database
      • Oracle
      • MySQL
    • 코딩테스트
      • 구름IDE
      • 백준
      • 코딩테스트 준비
      • 프로그래머스
    • 분석 및 설계
      • Design Pattern
      • UML
    • 트러블슈팅
      • Java
      • JPA
      • Spring
    • 개발 커리어
      • 면접
      • 멘토링
      • 포트폴리오
      • 프로젝트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250x250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Jindory

Jindory의 기록 라이프

[백준] 1260번 : DFS와 BFS(Python)
코딩테스트/백준

[백준] 1260번 : DFS와 BFS(Python)

2022. 3. 11. 20:49
반응형

문제설명

그래프를 DFS로 탐색한 결과와 BFS로 탐색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방문할 수 있는 정점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정점 번호가 작은 것을 먼저 방문하고, 더 이상 방문할 수 있는 점이 없는 경우 종료한다. 정점 번호는 1번부터 N번까지이다.

입력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1 ≤ N ≤ 1,000), 간선의 개수 M(1 ≤ M ≤ 10,000), 탐색을 시작할 정점의 번호 V가 주어진다. 다음 M개의 줄에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정점의 번호가 주어진다. 어떤 두 정점 사이에 여러 개의 간선이 있을 수 있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간선은 양방향이다.

출력

첫째 줄에 DFS를 수행한 결과를, 그 다음 줄에는 BFS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V부터 방문된 점을 순서대로 출력하면 된다.

전체코드(Python)

def dfs(arr,list,s):
    # 시작값을 추가한다.
    list.append(s)
    # 배열에 들어있는 값을 순회하며, list에 없는 값이면 dfs로 넘긴다.
    for i in range(len(arr[s-1])):
        if arr[s-1][i] not in list:
            list = dfs(arr,list,arr[s-1][i])
    
    return list

def bfs(arr,list,s):
    # 시작값을 추가한다.
    list.append(s)
    # list의 시작 index를 저장
    index = 0
    while len(arr[s-1])>0:
        # 첫번째 점과 연결된 점들 중 list에 없는 점들을 추가한다.
        for i in range(len(arr[s-1])):
            if arr[s-1][0] not in list:
                list.append(arr[s-1][0])
            # 한번 확인한 점들은 제거한다.
            arr[s-1].pop(0)
        # 정점과 연결된 선들을 확인 후 다음 정점으로 이동
        if index+1<len(list):
            index+=1
        s=list[index]
        
    return list
# 정점갯수, 연결선, 시작 번호를 받는다.      
n,m,s = map(int,input().split( ))
# 점들을 연결할 graph를 만든다.
graph = [[] for i in range(n)]
list = []
for i in range(m):
    p,c = map(int,input().split( ))
    # 양방향 그래프 이므로 두 그래프 정보를 각각 추가한다.
    graph[p-1].append(c)
    graph[c-1].append(p)
# 정점이 여려개일 경우 번호가 작은것 부터 방문해야하므로 오름차순으로 정렬
for item in graph:
    item = item.sort()
# dfs로 나온 결과를 list로 받아 출력한다.    
list = dfs(graph,list,s)
for i in list:
    print(i,end=" ")
# list 초기화
list = []
print()
# bfs로 나온 결과를 list로 받아 출력한다.
list = bfs(graph,list,s)
for i in list:
    print(i,end=" ")

 

혹시라도 정정할 내용이나 추가적으로 필요하신 정보가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도 Jindory 블로그에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비영리 (새창열림)

'코딩테스트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389번 : 케빈 베이컨의 6단계 법칙(Python)  (0) 2022.03.13
[백준] 2667 : 단지번호붙이기(Python)  (0) 2022.03.11
[백준] 1904번 : 01타일(Python)  (0) 2022.03.10
[백준] 1010번 : 다리놓기(Python)  (0) 2022.03.10
[백준] 9095번 : 1, 2, 3 더하기(Python)  (0) 2022.03.10
    '코딩테스트/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준] 1389번 : 케빈 베이컨의 6단계 법칙(Python)
    • [백준] 2667 : 단지번호붙이기(Python)
    • [백준] 1904번 : 01타일(Python)
    • [백준] 1010번 : 다리놓기(Python)
    Jindory
    Jindory

    티스토리툴바